1) 옛날 유학시절에 현지에서 인터내셔널 학생들을 도와주던 미국인 부부가 있었다. (인터내셔널 학생들 처음와서 잘 곳 없으면 재워주고 등등) 어느날, 이 부부와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나온 얘기가 "오직 한국 학생들만 자기 먹을 음식을 가져온다" 고 하는 것이다. 순간 깜짝 놀랐다. "뭐? 다른 나라 학생들은 음식을 안싸온다고?"  나도 미국갈 때 간단한 한국음식들을 가져갔으니까 더 그랬다. 이 부부의 집에 얼마나 많이 그리고, 얼마나 다양한 나라에서 유학생들이 왔다 갔는지는 모르겠다.

 

2) 무릎팍도사에 한비야씨가 나온적이 있었다. 아프리카를 여행할 때 한동안 한국음식을 못먹어서 고생했다며 한국음식은 음식이 아니라 보약이라고 얘기했던거 같다. (좀 오래전 일이라 이런 뉘앙스로 말을 했던건 분명하다)

 

길지 않은 해외생활을 하면서 참 궁금했던게 위에 제목에 있는대로 "한국음식을 꼭 먹어야만 하는 한국인들" 이었다.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한국음식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식으로 나오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음식이란게 개인의 기호고, 자신이 먹고 싶은걸 먹으면 그만이다. 이걸 가지고 타인이 왈가왈부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게 신기하다는 점은 분명하다.

 

1), 2) 번 현상을 겪고 가만히 기억을 되돌아보니, 주위의 중국학생들이 "3개월만에 중국음식 먹으니까 살 거 같아", 인도학생이 "인도 음식은 보약이야", 짐바브웨에서 온 친구가 "짐바브웨 음식 못 먹으니까 살이 쑥 빠졌어" 이런 표현을 쓰는 것을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 내가 저런 표현을 들어본 것은 오직 한국사람에게서 만이 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처럼 건강을 생각해서 음식을 먹는 경우도 본적이 없다. 물론 내가 전세계 50억 인구를 다 만나본건 아니고, 저런 표현을 하는 외국인들이 있을수도 있겠다.

 

한국사람들은 밥을 보약이라고 표현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들은 독약을 먹고 사는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한국 음식만 먹는 한국 사람들이 한국 음식덕에 특별히 더 건강한 것도 아니지 않은가?

 

왜 그렇게 목숨을 걸고 한국음식을 먹어야만 하는지 모르겠다. 어려서부터 세뇌당한 결과일까?

 

전부터 쓰려고 했었는데, 마침 무한도전에서 노홍철의 모습을 보고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예전 매니저 특집보면 박명수한테 햄버거 사먹자고 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여기서 먹는 햄버거를 왜 미국가서는 못먹겠다고 하는지 이해가 안간다.

 

PS) 한국인들에게 한국음식은 도데체 무엇일까?

 

 

 

'Id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새해 소망  (0) 2013.02.06
저축보험 가입자의 고민 - 대출이 있는데 어떻게 할까?  (0) 2013.02.01
영흥도 여행기  (0) 2012.11.03
차피 패밀리파크 방문기 - 양재점  (0) 2012.10.05
목동 야구장 방문기  (0) 2012.09.28
by normalist 2013. 1. 21. 01:06




그들은 어떻게 뉴욕 양키스를 이겼을까

저자
조나 케리 지음
출판사
이상 | 2012-03-30 출간
카테고리
경제/경영
책소개
메이저리그 역사상 가장 흥미로운 반전! 4,400만 달러짜리 팀...
가격비교


메이저리그 구단도 없이 야구장부터 지었던 템파베이의 야구단에 대한 이야기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만년꼴찌팀이었던 템파베이 데블레이스 (지금은 템파베이 레이스)가 어떻게 성공했는지를 설명한 책. (심지어 이 기간동안 아메리칸 리그 동부지구 순위는 뉴욕 - 보스턴 - 토론토 - 볼티모어 - 탬파베이 로 6년동안 고정되어 있었다. 하나마나 리그를 만드는데 일조한 팀이다.) 메이저리그는 단장의 야구인 만큼 단장이 미친짓하면 절대 성공할 수 없다는 평범한 교훈을 설명하고 있다.


오클랜드나 템파베이나 스몰마켓 팀으로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사용했다고 본다. 구단에 돈이 없으니 FA 계약에 많은 돈을 쏟아부을 수 없고, FA로 데려온 선수가 부진하면 FA계약 끝날때까지 성적을 포기해야하는, 이런 처지에서 결국 시장에 나온 선수들의 가격대 성능비를 따져야 하고, 상대적으로 연봉에 의해 저평가된 선수들을 찾을 수 밖에 없는 그런 사정속에서 나름대로 고생(?)한 이야기다.

오클랜드보다 나은 점이 있다면 성적이 더 좋았다는 점.

 

책은 템파베이 얘기를 다루고 있는데, 제목에서부터 외면받는 비운의 팀!


이 책의 원제가 "Extra 2%" 였구나. 누가 이런 병맛 제목을 붙였는지 궁금하다.


미국야구는 단장의 야구인만큼 단장이란 사람이 야구단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설명해주는 책이다. 

다만, 수익보전을 해도 이제는 스몰마켓팀이 빅마켓팀을 쫓아갈 수 없는 현실이 고착화된 것이 약간 걱정이 된다. 템파베이나 오클랜드 같은 팀의 전략이 항상 성공할 순 없고, (이제는 다들 따라하니까) 전략이 실패하면 어떤 대안을 또 들고 나올건지 궁금해진다.


PS) 역시 짠돌이 밑에서 일하면 안된다.

PS2) 고양 원더스의 김성근 감독님은 지면 신문에 나야 강팀이라고 하셨는데, 졌다고 책까지 나오는 양키스야 말로 진정한 강팀이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A History of the world in 6 glasses  (0) 2014.04.02
당신이 재테크로 부자가 될 수 없는 이유  (0) 2013.01.28
뤼미에르 피플  (0) 2013.01.16
노동의 배신  (0) 2012.12.11
빅 숏  (0) 2012.12.10
by normalist 2013. 1. 17. 16:55




뤼미에르 피플

저자
장강명 지음
출판사
한겨레출판사 | 2012-12-17 출간
카테고리
소설
책소개
도시의 뒤편이 품은 마법 같은 자화상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자...
가격비교

 

책을 받고 나서 뤼미에르 빌딩이 실제로 있는줄 알았다. 나도 나름 이소설의 무대 근처에서 대학생활을 했었기 때문에.. (신촌역, 이대입구역을 이용했다고 해두자.) 아트레온 극장에서 영화를 본 일도 있었고. 그런데, 알고보니 뤼미에르는 가상의 빌딩이었고, 내가 생각했던 빌딩은 르 메이에르 빌딩이었다. 반인반서 얘기 나올때는 실제 지하철 통로가 있나보다 생각을 했었는데, 어쨌거나, 실존하는 빌딩 이름을 걸지 않아서 다행이다.

 

왜 이렇게 비현실적일까? 이 책 SF 소설이었나 싶을 정도로 신기한 일들이 많이 일어난다.

소설을 읽고나서 처음 내 느낌이었다. "박쥐인간" 이건 뭐지? 침대에 누워있는 사람 얘기하다가 갑자기 커플로 얘기로 넘어가는 것도 이상하고, 반인반서도 있으며, 다른 에피소드를 읽어봐도 정상인(?)을 다룬 소설은 아닌거 같다. 언제부터 우리 주위에 비정상인들이 늘어났을까? 평소에 소설책을 잘 안읽어봐서 그런지 상당히 낯설게 느껴졌다. 대한민국 현실이 암울해서 그런걸까?

 

 

PS1) 만약 나보고 살 곳을 고르라고 한다면 뤼미에르빌딩 8층에 살고 싶지는 않다.

 

PS2) 띠지에 보면 첫번째 소설이라고 하는데, 이게 왜 첫번째 소설일까? 문학상 받을때도 소설써서 낸거 아닌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신이 재테크로 부자가 될 수 없는 이유  (0) 2013.01.28
그들은 어떻게 뉴욕 양키스를 이겼을까?  (0) 2013.01.17
노동의 배신  (0) 2012.12.11
빅 숏  (0) 2012.12.10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0) 2012.11.08
by normalist 2013. 1. 16. 0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