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방역 근처에 갈 일이 있어서 평소에 눈여겨 보았던 1번 출구 옆에 있는 방배역 자전거 무료 대여소를 이용해 보기로 했다.

처음 방문하면 자전거 타다가 사고가 생기면 변상한다는 문서를 제출해야한다.

이어서 신분증과 전화번호를 확인을 하면 자전거를 빌려준다.

검색을 해보니까 헬멧도 빌려준다는데, 나는 자물쇠만 빌리기로 했다. 

반납할 때는 자전거만 갖다주면 알아서 처리해준다.

여기서 자전거도 수리한다고 써있다.

주력 모델은 삼천리 자전거의  STINGER 100, 그리고 아팔란치아다. 

그 외에 바구니가 달린 모델도 있다. 

한강공원에 있는 2인용 자전거나 어린이용은 없다. 


자전거를 받아서 내방역으로 달리기 시작했다. 자전거가 인도로 달리면 불법이라는데, 우리나라 현실상 인도에 다들 차 끌고 들어와서 주차를 한다. 당장 방배역 앞의 KFC, 스타벅스만 해도 차를 끌고 인도를 지나가야 주차를 할 수 있다.

차는 인도를 다닐수 있는데, 자전거는 인도를 다닐수 없는 현실.

이거 좀 너무 한거 아닌가?

인도에 차도 다니고, 오토바이도 다니고, 사람도 다니는데. 자전거만 안된다니.


그리고, 반포 세무서 정도나 되야 자전거를 세울 수 있지, 은행이나 일반 상점들은 앞에 자전거를 세울만한 공간이 없다. 가지고 들어가려면 못 들고 가게 하고, 자물쇠로 묶어놓을 만한 곳은 없고..

어떤 수위아저씨는 여기에 자전거 몰고 온 사람이 없다고 나보고 그냥 세워놓으라고 하는데, 얼마나 대단한 곳에서 일하길래 그딴 소리를 하는지 궁금하다.


오랜만에 바람을 맞으면서 자전거를 타니 기분은 좋았으나, 막상 자전거를 세울 수 있는 공간이 얼마 없다는 사실이 씁슬하다. 


자전거 대여하면서 느낀 점 추가

0. 자전거를 갖고 나오기 전에 안장 높이를 조절하고, 브레이크등을 꼭 점검해보자.

1. 왠만하면 기어 건드리지 말자. 안그래도 여러사람들이 타는 자전거 다들 상황에 맞게 탄다. (기어 건드렸다가 자전거 안굴러가는 수가 가끔 있다.)

2. 대여소 앞에 도착해서 자전거 세우고 여는 버튼 누르고 자전거 들고 올라가면 자동문이 거의 닫히려고 한다. 밖에서 눌렀을때는 시간을 좀 길게 해줄순 없을까? -> 이제는 숙달이 되서 닫히기 전에 올라갈 수 있다.  -> 이제는 거의 열어놓는 편.

3. 헬멧과 자물쇠와 자전거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다. 자전거를 빌릴수 있어도 자물쇠가 없으면 못빌린다.

4. 좀 타다보니까 3면이 고지대라도 자전거 타고 다닐 수 있겠더라. 서울고쪽이 제일 쉽다.

5. 자전거 반납은 6시 30분까지 하면 좋다.

6. 자전거 수리도 하는 거 같다.

7. 다들 타면서 안장 높이를 조절하다보니까 좀 오래된 자전거는 타면서 안장이 조금씩 내려간다. 다시 올리는 수 밖에...


PS) 3면이 고지대인 방배역에서 (위로는 우면산, 사당역방면도 고개를 넘어야 하고, 서울고 방면도 마찬가지로 경사가 좀 있다.) 자전거를 빌려서 다들 어디를 가는지 궁금하다.



'Id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NTA 공연 감상기  (2) 2013.07.11
Fitbit One 사용기  (2) 2013.06.28
2013 서래마을 한불음악축제 후기  (0) 2013.06.10
iOS용 Google Now 사용기  (0) 2013.05.06
김어준의 뉴욕타임즈 마지막회 방청 후기  (0) 2013.03.17
by normalist 2013. 6. 16. 00:40



서초구에서 산 지 꽤 오래 되었는데, 이렇게 사람 많은 거 처음봤음. (정말 x100, 너무 x100 사람 많음)


공간이 좁아서 그런가? 하여간 엄청나게 많음.


음식을 사려고 했는데, 줄 도 엄청나게 김. 그것도 저녁 7시쯤에. 그래서 줄 제일 짧은 핫도그 사먹었음. 그나마 칠리는 품절이라고 함. 


앉을 자리가 없어서 돌 위에 앉아서 먹었음. 돗자리 가져올 걸.


외국인도 너무 많음. 서울에 외국인이 이렇게 많았었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


사람이 너무 많아서 핫도그 하나씩 먹고, 다리위에 한번 갔다가 그냥 왔음. 


내년에 간다면 저녁은 꼭 싸가야겠음. 돗자리도 꼭 가져가겠음. 그리고, 조금 일찍 가보겠음.

by normalist 2013. 6. 10. 01:47



봄이 다시 오고, 까페 모무스도 다시 문을 열어서 갔다왔다. 

낮이 길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는 어두워서인지 사람이 많지는 않았다. 


상당히 특이한 이벤트를 하고 있는데, (화/목 10000원 이상 구매고객에게 화:슈무커, 목:크롬바커 맥주 2잔 무료제공) 이게 안주 뿐만 아니라 맥주도 가능하다. 맥주 1잔이 6000원 이니까, 맥주 2잔을 시키면 맥주 2잔을 공짜로 받는다. 맥주만 시켜도 50% 할인 효과가 나니까 여럿이 왔을 때 유리하다.

(수/금 에는 5000원 이상 구매 고객에게 아이스커피 1잔 무료제공)


한 쪽에 무대(?)를 만들고 왠 아저씨가 이상한(?) 복장을 하고 노래를 하고 있는데, 솔직히 좀 안 어울린다. 복장도 그렇고, 노래도 그렇고.. 아이들이 전혀 좋아하지 않는 복장과 노래를 부르면서, 자꾸 오라고 하면 아이들이 싫어한다. (나라도 무서워서 안 가겠다.)


예술의 전당의 경우 음악분수가 나오면 까페모무스 까지 어차피 음악이 다 들리는데, 노래하는 시간을 분수시간과 다르게 하면 어떨까? 그리고, 바로 옆에 국립예술자료원이 있는데, 음악분수는 그렇다고 쳐도, 이 아저씨가 노래하는 거에 대해서 어떻게 얘기했는지도 궁금하다. 분수광장 음악이 끝나고, 노래부르던 아저씨가 그만두니까 아주 조용하다. 원래, 이 곳은 음악이 없어지면 아주 적막한 곳인데, 정 할 게 없으면 작년에 했던것처럼 한쪽 벽에 예술 영화를 틀어줘도 된다.


바베큐를 시키면 옆에 그릴에서 구워주는데, 전자렌지에 차가운 피자 해동하면 구석구석 잘 안되듯이 약간 차가운 곳도 있고 무엇보다 좀 부실하다.(10000원 이라는 가격에 비해서) 음악과 함께 기분을 내고 싶다면 위쪽 음악분수 광장에서 캔맥주 사다가 통닭을 시켜먹어도 된다. 편의점도 생겼으니 술 사기도 쉬어졌을 테고.(그래서 인지 모르겠지만, 경비아저씨가 오늘 음악분수 앞 (인조)잔디광장 위에서 음식을 먹지 말라고 단속을 하고 있었다. 지난 주말엔 단속안했는데... 또, 확인결과 예술의 전당 편의점에서는 담배와 주류는 팔지 않는다고 붙여놓았지만 캔맥주는 팔고 있다. 가만보면 예술의 전당이 은근히 cannibalization 에 대한 대비가 잘 되어 있다.)

슈무커/크롬바커로 차별화가 안된다면 무언가 다른 컨텐츠는 없을까? 일단 주말에 성악 앙상블/석고 마임을 한다고 하니까 한번 기대해보자.


헤페바이젠과 슈발츠비어가 사라지고 슈무커와 크롬바커를 팔고 있다.


by normalist 2013. 5. 31. 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