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접기로 했으나, 마음은 그래도 편하지 않았다. 하도 답답해서 구글에서 "자폐증 환자와 일하기"를 검색해 보았으나, 도움이 될 만한 검색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사실 이게 이 글을 쓰는 이유다.) 외국에서는 자폐증 환자들을 소프트웨어 개발/테스트에 활용한다는 얘기만 있었을 뿐이고, 자폐증에 대해서 설명해 놓은 페이지들도 구체적으로 자폐증 환자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었다. 

어쨌거나, 조별 과제는 계속 진행이 되었고, 여기도 사람이 모인 곳인 만큼, 그리고, 일을 안하는 개인에 대한 특별한 제재수단이 없다보니, 조별과제에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일이 일어났다. 일 안하는 건 기본이고...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그렇다보니, 차츰 이 사람의 장점도 드러났다. 먼저, "5분간 시도 후 되면 실행, 안되면 포기"가 장점으로 다가왔다. 남들처럼 일을 잡고 있다가 "사실 이거 안했어요." 하며 빵꾸내는 일은 없었다. 일 시키고 나서 5분뒤에 가서 진행하고 있나만 체크하면 수행 여부를 바로 알 수 있었다. 5분안에 빵꾸날지 안날지 판가름이 나니까 좋았다. 허울뿐이라도 관리자가 되고 나니, 명확하다는게 그렇게 편할 수가 없었다.
 
두번째로, 내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서 질문을 하진 않았다.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나 이거 알고 있어요", "나 이만큼 했어요" 를 티내기 위해 조원들을 괴롭히는 일은 없었다는 뜻이다. (누구처럼 하나의 질문을 모든 조원에게 1번씩 돌아가면서 혼자 있을 때 물어본다던가?, 또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다른 팀원과 논쟁을 하면 시끄럽다고 니가 석사면 다냐 그냥 시키는대로 하자 뭐 그런 일들) 다른일(출력, 서버접속등)로 다른 조원들의 시간을 뺐은 적은 있어도, 조별과제 진도를 나가는데 방해를 한 적은 없었다. 어차피, 일에 관심은 없었지만, 관심이 없는게 우리에게는 더 도움이 되었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시 그와 일하라고 하면 절대 다시는 하고 싶지 않다.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데,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한편으로 우리나라같은 전체주의 사회에서 그동안 어떻게 살았을까가 궁금해졌다.

우리나라에는 인구의 약 2~3% 정도 자폐증 환자가 있다고들 한다. 나도 살아오면서 자폐증 환자들을 만난적은 없다. 그럼 이 사람들은 도데체 어디서 무슨 일을 하며 살고 있는걸까? 





by normalist 2014. 2. 12. 14:56